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탐구61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1. 토머스 모어와 『유토피아』의 역사적 배경토머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는 르네상스 시대 영국을 대표하는 정치가이자 철학자이며, 뛰어난 법률가였다. 그는 헨리 8세 치하에서 대법관을 지내며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결국 목숨을 잃은 인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가 후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정치적 활동이 아니라, 그가 남긴 저서 『유토피아(Utopia)』였다.『유토피아』는 1516년 라틴어로 출판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인문주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유토피아’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으며, ‘ou-topos(어디에도 없는 곳)’와 ‘eu-topos(좋은 곳)’라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즉, 이는 현실.. 2025. 3. 10.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1. 임마누엘 칸트와 『순수이성비판』의 탄생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근대 철학을 대표하는 가장 위대한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활동하며 서양 철학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철학적 혁명을 주도했다. 특히, 그의 대표 저서인 『순수이성비판(Kritik der reinen Vernunft)』(1781년 초판, 1787년 개정판)은 인간의 인식이 어떻게 가능하며, 그 한계가 어디까지인가를 분석하는 철학적 탐구의 결정체다. 칸트는 기존의 철학적 전통이 가진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했으며, “인간은 과연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중심으로 그의 비판 철학을 전개했다.칸트가 이러한 철학적 탐구.. 2025. 3. 10.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 1. 자연과의 조화 – 『월든』이 전하는 자발적 가난의 철학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는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작가로, 그의 저서 『월든(Walden)』은 자연 속에서 단순한 삶을 실천한 기록이다. 그는 문명이 만들어 낸 복잡한 삶을 벗어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것이 인간의 본질적인 행복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자발적 가난(voluntary poverty) 을 선택함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찾고자 했다.소로가 생각한 자유는 단순히 외적인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으로도 물질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의미했다. 우리는 종종 돈이 많아야 자유롭다고 생각하지만, 소로는 오히려 돈과 재산이 많을수록 더 많은 걱정과 책임이 따른다고 보았다. .. 2025. 3. 10.
칼 마르크스 『자본론』 1. 칼 마르크스와 『자본론』의 역사적 배경  19세기 유럽은 산업혁명이 빠르게 진행되며 사회·경제적 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기였다. 증기기관의 발명과 기계화된 공장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증가했지만, 노동자 계층은 극심한 빈곤과 착취 속에서 고통받고 있었다. 노동 시간은 길었고, 임금은 턱없이 낮았으며,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거나 심각한 부상을 당하는 일이 빈번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등장한 사상가가 바로 칼 마르크스(Karl Marx)이다. 그는 기존의 경제학이 설명하지 못한 자본주의의 본질을 규명하고, 노동자 계급의 해방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려 했다.마르크스는 독일에서 태어나 철학과 경제학을 공부하며 사회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 2025. 3. 9.
장 자크 루소 『에밀』 1. 장 자크 루소와 『에밀』의 탄생 배경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는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사상가로, 그의 이론은 근대 민주주의와 교육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루소는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사회 계약론, 정치 철학, 교육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사상을 전개했다. 특히 그는 인간이 본래 선한 존재이며, 사회적 환경과 문명이 인간을 타락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철학적 입장은 교육론에도 반영되었으며, 그 결정체가 바로 『에밀(Émile, ou De l’éducation)』이라는 책이다.『에밀』은 단순한 교육 방법론을 담은 책이 아니라, 인간의 성장 과정과 학습 과정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담고.. 2025. 3. 9.
헤겔 『정신현상학』 1. 『정신현상학』의 철학적 의의와 배경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은 독일 관념론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그의 사상은 서구 철학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다. 특히, 1807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정신현상학(Phänomenologie des Geistes)』은 의식이 절대적 지식에 도달하는 과정을 변증법적으로 탐구한 대표작으로 꼽힌다. 이 책은 단순한 인식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역사철학, 윤리학, 사회철학 등 광범위한 철학적 영역을 포괄하며, 인간 의식의 본질과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헤겔이 『정신현상학』을 집필한 배경에는 당대의 철학적 논쟁이 깊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는 칸트(Immanuel Kant)와 피히테(Johann G.. 2025.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