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1. 아우구스티누스와 『고백록』 – 고전 속 신앙과 철학의 조화고대 기독교 철학을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신학자인 성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 는 『고백록(Confessiones)』을 통해 신과 인간의 관계를 깊이 탐구했다. 『고백록』은 단순한 자서전이 아니라, 신 앞에서 자신의 삶을 고백하며 신학적, 철학적 성찰을 담은 작품 이다. 이 책은 신앙적 회심 과정과 인간의 본질, 자유 의지, 시간 개념, 신의 섭리에 대한 깊은 사유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독교 신학의 핵심 텍스트로 자리 잡았다.아우구스티누스는 젊은 시절 방탕한 삶을 살았지만,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삶을 찾았다. 『고백록』은 그의 내면적 갈등과 회심의 과정을 생생하게 기록한 작품 이다. 그는 플라톤주의, 마니교, 회.. 2025. 3. 13.
호메로스 『일리아스』 1. 『일리아스』는 왜 중요한가?문학 작품은 단순히 이야기의 집합체가 아니라, 한 시대의 문화와 가치관을 담고 있는 중요한 유산이다. 특히, 고대 문학은 서구 문명의 근간을 형성한 철학, 역사, 윤리적 개념을 담고 있어, 오늘날까지도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호메로스(Homer)의 『일리아스(Iliad)』는 단순한 신화적 이야기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일리아스』는 기원전 8세기경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며, 서양 문학에서 가장 오래 된 서사시 중 하나다.『일리아스』는 트로이아 전쟁(Trojan War) 의 마지막 51일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전쟁 서사시로, 단순한 전쟁 묘사에 그치지 않고, 영웅적 가치, 명예(honor), 분노(wrath), 운명(fate) 등의 심오한 철학적.. 2025. 3. 12.
헤로도토스 『역사(Histories)』 1. 헤로도토스의 생애와 배경고대 그리스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헤로도토스(Herodotus, 기원전 484년~기원전 425년경)이다. 그는 오늘날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위대한 인물로, 역사 기록을 최초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이다. 헤로도토스는 고대 그리스의 할리카르나소스(Halicarnassus, 현재의 터키 보드룸 지역) 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애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그의 저서인 『역사(Histories)』를 통해 어느 정도 그의 삶을 유추할 수 있다.헤로도토스가 살던 시대는 페르시아 제국이 강성하던 시기로, 그리스 세계와 페르시아 간의 충돌이 빈번했다. 당시 그리스는 여러 개의 폴리스(도시국가)로 나뉘어 있었으며,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아테네와 강력한 군사력을 자.. 2025. 3. 11.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1. 아리스토텔레스와 『정치학』 – 정치 철학의 기초를 다지다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BC 322)는 서양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그는 플라톤(Plato)의 제자로서 학문적 기초를 닦았으나, 이후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확립하며 독자적인 사상을 전개했다. 그의 철학은 형이상학, 논리학, 윤리학, 정치학, 자연과학 등 광범위한 분야를 아우르며, 특히 정치철학 분야에서 깊은 영향을 끼쳤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철학은 플라톤의 이상주의적 철학과 대비되는 현실주의적 철학을 바탕으로 하며, 그는 경험적 연구와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정치 체제의 본질을 탐구했다.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정치학(Πολιτικά, Politics)』은 인간 사회에서 정치가 갖는 의미와.. 2025. 3. 11.
몽테뉴 『수상록』 1. 몽테뉴와 『수상록』 – 르네상스 시대의 자유로운 사상가미셸 드 몽테뉴(Michel de Montaigne, 1533~1592)는 프랑스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사상가였다. 그는 기존의 철학적 전통을 답습하는 대신,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사유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철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몽테뉴의 대표작인 『수상록(Essais)』은 단순한 철학서가 아니라, 인간의 본질을 깊이 탐구하고 삶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한 철학적 에세이이다.몽테뉴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비교적 풍요로운 환경에서 자랐다. 그는 어릴 때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았으며, 특히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비롯한 고전 문학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의 교육 방식은 독특했다. 아버지는 몽테뉴가 태어나자마자 프랑스어 대신 라틴어를 모국어처.. 2025. 3. 11.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1. 토머스 모어와 『유토피아』의 역사적 배경토머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는 르네상스 시대 영국을 대표하는 정치가이자 철학자이며, 뛰어난 법률가였다. 그는 헨리 8세 치하에서 대법관을 지내며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결국 목숨을 잃은 인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가 후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정치적 활동이 아니라, 그가 남긴 저서 『유토피아(Utopia)』였다.『유토피아』는 1516년 라틴어로 출판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인문주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유토피아’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으며, ‘ou-topos(어디에도 없는 곳)’와 ‘eu-topos(좋은 곳)’라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즉, 이는 현실.. 2025. 3. 10.